본문 바로가기

정보 보안 수업/Lab 구성

정보 보안 랩(Lab) 파트 IV: 네트워크 실습 구성

네트워크 실습을 위해 패킷 트레이서 설치하기

 

1. 패킷트레이스 다운로드

 

 

이미지.1 패킷트레이스 다운로드 사이트  이미지

※ 패킷트레이스 다운로드 및 사용을 위해 회원 가입 해야한다.
※ 구글 계정으로 연동해서 가입하면 끝!!

 

2. 압축 해제 및 설치 : 구글링해서 설치 참고

[참고] 압출 풀고 Next 버튼 클릭해서 설치 하면 됨


3. 네트워크 구성 실습

- 라우터(Router): 다른 네트워크로 패킷을 전달해주는 네트워크 장비

- .pkt(패킷트레이 확장자)

- 구성: LAN(Local Area Network) + LAN(Local Area Network)

 

[참고] PC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을 위해 반드시 DG(Default Gateway)를 설정해야 한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GW    GW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.3         .3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Fa0/0     Fa0/1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+--------------------------[R1]----------------------------+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| Fa0/24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Fa0/24 |
                 Fa0/1   | Fa0/2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Fa0/1  |  Fa0/2
[PC0]----------[Switch0]----------[PC1]                 [PC2]----------[Switch1]----------[PC3]
 .1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.2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.1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.2

             192.168.1.0/24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192.168.2.0/24
 

 

3.3.1. R1 라우터 설정

1) 라우터 CLI 설정

Would you like to enter the initial configuration dialog? [yes/no]: no    // Dialog 방식 모드로 설정하지 않으려고

Router>enable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// 설정 할 수 있는 레벨 모드(>에서 #으로 변경)로 진입
Router#conf t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// 설정을 위해 confi  t 입력(설정모드)
Router(config)#hostname R1    // 호스트명을 R1으로
R1(config)#int f0/0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// 192.168.1.0 네트워크와 연결된 인터페이스로 진입
R1(config)#ip add 192.168.1.3 255.255.255.0     // IP 및 서브넷 마스크 입력
R1(config-if)#no sh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// 인터페이스 활성화
R1(config-if)#int f0/1                  //  192.168.2.0 네트워크와 연결된 인터페이스로 진입
R1(config-if)#ip add 192.168.2.3 255.255.255.0  // IP 및 서브넷 마스크 입력
R1(config-if)#no sh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// 인터페이스 활성화
R1(config-if)#end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// 인터페이스 모드 빠져 나옴

 

2) 설정된 인터페이스 설정 및 상태 확인
R1#sh ip int b
Interface              IP-Address      OK? Method Status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Protocol 
FastEthernet0/0        192.168.1.3     YES manual up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up 
FastEthernet0/1        192.168.2.3     YES manual up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up 
Vlan1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unassigned      YES unset  administratively down down

 

※ 각 인터페이스의 IP 확인 및 Status 와 Protocol 모두 UP이 되어야 함

 

3.3.2. PC0(192.168.1.0/24) 에서 PC3 (192.168.2.0/24) 으로 Ping 명령을 사용해 통신이 잘 되는지 확인

 

[PC0] C:\>ping 192.168.2.2
Pinging 192.168.2.2 with 32 bytes of data:

Reply from 192.168.2.2: bytes=32 time<1ms TTL=127
... 생략 ...
Reply from 192.168.2.2: bytes=32 time<1ms TTL=127

Ping statistics for 192.168.2.2:
    Packets: Sent = 4, Received = 4, Lost = 0 (0% loss),
Approximate round trip times in milli-seconds:
    Minimum = 0ms, Maximum = 0ms, Average = 0ms 

 

※ ping 결과값에 sent와 received 값이 같은지와 Lost = 0 (0% loss) 이 중요하다.

 

 

4. 패킷트레이스 실습 결과물

4.1.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PC간 통신 실습 구성

 - 192.168.1.0/24 

 - 192.168.2.0/24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패킷트레이스 실습 파일 첨부

Lab_1028.pkt
0.05MB

 

 

 

4.2. 패킷트레이스를 통한 PC IP 설정

1) IP Configuration 클릭

 

2) IP Static 클릭

 - IP Address, Subnet Mask, Gateway 입력

 

※  입력 완료 후, 윈도우 창 x 클릭

 

3)  PC0에서 PC3으로 ping 확인

 - IP 확인

 - PING 명령어로 상이한 네트워크 PC3으로 통신 확인